1월 4주차 트렌드 정리: 2024 트렌드 정리
https://www.instagram.com/p/C2HQpMSI1fd/?igsh=MW1qMWJ3ZmtmZnlzNg==
글 참고
1. 디토소비(ditto consumption)
-나도 (ditto)+ 소비 (consumption)의 합성어
-내가 정말 필요해서 선택하는 소비가 아닌, 유명인이나 콘텐츠 등의 영향을 받아 소비하는 형태를 의미
-수많은 선택지가 생겨나고 과도한 정보가 돌아다니며 “더 나은 선택에 대한 두려움” 현상이 드러남
-사람들은 실패의 두려움을 줄이기 위한 손쉬운 방편으로 ”디토소비“선호하고 이로 인해 인플루언서의 영향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
2.미코노미 (Meconomy)
-나(me) + 경제 (Economy)의 합성어
-자신을 위한 소비에 돈을 아끼지 않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의미
3. 도파밍 (on dopamine farming)
-도파민(dopamine) + 파밍(farming)의 합성어
-숏폼 콘텐츠와 같이 재미와 쾌락을 충족할 만한 행동에 집중하는 사회 현상을 의미
-즐거움을 줄 수 있는 도파민이 분출되는 행동이라면 무엇이든 시도해보고 그러한 것들을 수집해보려는 노력
도파밍 vs 디깅
도파밍: 재미추구/ 동시에 여러가지를 즐김
디깅: 몰입/ 취향을 탐색해보고 한가지에 깊게 몰입
4. 호모 프롬프트
-호모 (Homo) +프롬프트(Prompt)의 합성어
-창의성을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AI와의 대화 및 소통 과정을 통해 인공지능 서비스를 적재적소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을 의미
-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잘 활용하는 사람
5. 버라이어티 가격전략 (varoable pricing)
-기존 일물일가의 틀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지불 의향, 시간과 대상에 따라 가격을 버라이어티하게 변화시켜 판매하는 전략
슈링크플레이션
-줄어들다 (shrink) + 물가상승(inflation)이 합성어로 기존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두면서 크기와 중량을 줄여 사실상 가격을 올리는 효과를 보는 것
6. 이코노-럭스 (Econo-Lux)
-검소하면서도 럭셔리하게, 경제적 합리성을 생각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가장 큰 행복을 안겨주는 상품을 소비하며 문화를 풍부하게 즐기는 소비자를 의미